필룩스 매수 2020.12.03 / 5320 매도 2020.12.16 / 4460 매수 이유 11월 27,20일 약 7000억, 5000억 원 대량 매수 호재 뉴스 11월 25일 면역항암제 임상 2상 개발과정 순항 호재뉴스 11월 19일 제넨셀 인도 코로나 치료제 개발 임박 두번의 장대 양봉 과거 비교 저점 (최고:30900 최저:2500)
#004_자본잠식이란?_2020.11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나만 어려운 자본잠식 설명
주식시장에서 내 돈을 지키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단언컨대, “망하지 않을 회사의 주식을 사는 것이다”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 그런 주식을 고른다고 해서 내가 돈을 벌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주식은 내가 산 가격보다 올라야 돈을 벌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망하지 않을 회사를 매수하는 것은 내가 100%의 돈을 잃을 수 있는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는 최소한의 안전장치이다.
위험한 회사임을 아는 방법이 바로 ‘자본 잠식’이다.
내가 투자한 회사가 망해서, 내 돈이 공중으로 분해된다는 말이다.
자본잠식에 대해 조금 쉽게 설명해 보겠다.
내가 고깃집을 1억을 들여서 개업했다. 투자 비용 1억을 자본금이라고 한다. 만약, 장사를 하여 수익이 나는 것을 이익잉여금이라 하고 손해가 난다면 결손금이라고 한다.
자본총계는 자본금에 벌거나, 잃은 돈을 합친 값인데, 만약 투자 비용(자본금)보다 자본총계가 작은 경우를 자본잠식이 되었다고 한다.
부분자본잠식 = 자본총계 < 자본금
완전자본잠식 = 자본총계 < 0
기업이 적자가 커져서 이익잉여금이 소진되어 자본총계 < 자본금인 경우, 부분자본잠식
적자(결손금)가 더 커져서 자본이 자본총계가 마이너스(-)가 되는 경우, 완전자본잠식이라고 한다.
(부분자본잠식) 자본잠식률이 50% 이상 진행되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고
2년 이상 지속 시 상장폐지 되고, 자본총계가 마이너스가(-) 되면 상장폐지가 된다.
사례.
보는 바와 같이 자본총계(21,335) < 자본금(52,070)이므로 부분자본잠식에 빠져있고
부분잠식률은 약 59%{(52,070 - 21,335) / 52,070} * 100이다.이상태로라면 회사는 거래정지가 되고 상장폐지 조건을 갖추기 때문에 이를 면하기위하여 재무구조 개선(감자 등)을 해야한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매수매도잔량의 의미
매수, 매도 잔량 확인하기 아래의 화면이 주식을 하면 자주 볼 수 있는 호가창 입니다 매수,매도 잔량을 확인해 보니 뭔가 이상한 점이 있었습니다. 빙그레: 매도잔량969, 매수잔량5212 (주식하락) AJ네트웍스:매도잔량12151,매수잔량5387 (주식상승) 액트:매도잔량88482,매수잔량16811 (주식상승) 기본적으로 사고싶은 사람(매수자)이 팔고싶은사람(매도자)보다 많을 경우 주식이 상승하며, 팔고싶은 사람(매도자)이 사고싶은 사람(매수자)보다 많으면 주식이 하락해야 되는거 아닌지 생각 되었습니다. 하지만 위 표에서 보듯이 매수 잔량이 높을 경우 주식은 하락했으며 매도 잔량이 높을 경우 주식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이유는 투자자의 심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매도자의 경우, 주식이 오른다고 판단하면 현재가 보다 높은 가격에 주식을 내놓습니다. 주식이 오르고 있는데 주식을 현재가에 바로 내어 팔 생각은 없겠죠? 매도 잔량이 쌓이고 있는겁니다. 하지만 오르고 있는 주식을 사고 싶어 하는 사람들은 주식이 떨어지길 기대하는 투자자들은 현재가 보다 낮은 가격에 매수 주문을 하겠지만 이 주식이 계속 오른다고 판단하는 투자자들은 현재가에 바로 매수 주문을 할 것입니다. 이러한 적극적인 매수 투자자들은 현재가에 바로 주문하기 때문에 매수잔량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주식이 떨어질 경우는 어떨까요? 매수자들은 현재의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주식 매수를 할것입니다.(나는 이 주식이 떨어지기 때문에 더 낮은 가격으로 주식을 살꺼야) 이러면 매수 잔량은 점점 쌓이겠죠. 하지만 팔고 싶어 하는 사람들은 어떨까요? 주식이 계속 떨어지기 때문에 더 떨어지기 전에 현재가로 팔고 싶어할 것입니다. 바로 호가창에 현재가로 바로 팔아 버리기 때문에 매도 잔량에는 기록되지 않는 것입니다. 따라서 매도물량이 매수물량보다 적은것 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매도 물량과 매수 물량의 차이가 확연할 때 더 확실하게 납니다. 차이가
단타일지_001_필룩스_2020.12
사업보고서, 반기보고서, 분기보고서 제출기한
오늘은 기업보고서의 제출기한에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사업보고서, 기업보고서, 분기보고서 제출기한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보고서는 그 기업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의 하나로 투자자에게 기업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투자자가 투자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객관적 지표가 되는 자료 중 하나입니다. 기업이 내놓은 보고서이다 보니 자신의 회사에 이롭게 공시를 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100% 신뢰해서는 안됩니다.(회계 법인의 감사 보고서 등의 보완 장치가 있지만 실제로 재무재표를 왜곡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보고서는 어디까지나 투자의 참고 사항일뿐 전적으로 신뢰할 사항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고서의 중요성을 강조되는 이유는 적어도 그 회사의 재무 건전성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망하는 회사에 무리하게 투자했다가 투자금 전체를 날리는 상황은 막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일단 가능하면 사업보고서를 정독해 보시기 바랍니다. 회사가 내역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지표 자료입니다. 길어서 읽기 쉽지 않지만 적어도 내가 투자할 회사라면 그 회사의 기초 지식은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두번째로, 분기 보고서 입니다. 분기 실적 발표는 실적이 좋은 회사는 최대한 실적을 빨리 발표하고 싶어하고 그렇지 않은 회사들은 임박해서 발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다수의 기업들이 임박해서 발표하는 것이 관례화 되어 있습니다. 분기보고서는 분기 경과 후 45일 이내 에 공시하게 되어있습니다. 예를 들면, 12월 결산법인의 경우, 1분기 / 1월~3월 실적 / 5월 15일까지 발표 2분기 / 4월~6월 실적 / 8월 15일까지 발표 3분기 / 7월~9월 실적 / 11월 15일까지 발표 4분기 / 10월~12월 실적 / 후년 3월 30일까지 발표 (60일 이내) 위의 기간안에 분기 성적표를 발표해야하며 2주간의 시간을 두고 오류 사항에 있다면 정정 발표를 할 수 있습니다. 분기 보고서
댓글
댓글 쓰기